이젠 애플보다 삼성이 스마트폰 시장에 앞서 간다는 것을 어김없이 보여준 갤럭시 폴드. 그렇지만 너무 고가라 함부로 구매 할 수는 없는데 어떤 성능일 지녔고 어떤 제품인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다.
갤럭시 폴드 디자인
갤럭시 폴드는 인폴딩 구조로 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접혀 있다. 이는 세계 최초로 아웃폴딩 구조가 아닌 인폴딩 구조를 적용한 것인데 특히 외부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접힌 상태에서는 스마트폰과 가까운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고 펼친 상태에서는 태블릿 컴퓨터와 가까운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기본 색상은 갤럭시 폴드 발표 기준으로 코스모스 블랙, 스페이스 실버, 마션 그린, 아스트로 블루로 총 4종으로 출시하였으나 힌지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갤럭시 폴드 사양
사양은 우선 AP로 퀄컴 스냅드래곤 855 SM8150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Qualcomm Kryo 485 Gold 쿼드코어 CPU를 싱글코어와 트리플코어로 구성된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 한쪽에는 고클럭 세팅으로 빅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고 다른 한쪽에는 저클럭 세팅으로 미드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며 Qualcomm Kryo 485 Silver 쿼드코어 CPU를 리틀 클러스터로 구성해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DynamIQ 방식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퀄컴 Adreno 640 GPU를 사용한다고 나타나 있다. CPU 구성이 다소 특이한데 DynamIQ 방식을 지원해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CPU 코어 수가 다르더라도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하게끔 만들어진 것이 갤럭시 폴드이다. 램은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총 12GB다. 이에 비해 아이폰 램은 처참한 수준이다.
갤럭시 폴드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외부 디스플레이로 구분되는데 메인 디스플레이는 7.3인치 4.2:3 비율의 2152 x 1536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도입된 Dynamic AMOLED 방식의 Infinity Flex Display이다. 4:3 비율인 QXGA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삼성전자는 이를 QXGA+라고 명명해서 부르고 있으며 외부 디스플레이는 4.6인치 21:9 비율의 1680 x 72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HD+ Super AMOLED라고 한다. 16:9 비율인 HD 720p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삼성전자는 이를 HD+라고 한다.
갤럭시 폴드 배터리
배터리 용량은 4G LTE 모델이 내장형 4,380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4,275 mAh이고 5G NR 모델이 내장형 4,235 mAh이며 배터리 최소 용량은 4,135 mAh으로 나타난다. 배터리까지 접히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가 두 개로 나뉘어져서 양쪽에 배치되어있고 이 둘을 합친 것이 배터리 총 용량이다. 또한 고속 무선충전은 기본이며 기기 자체가 무선충전기가 되어 다른 기기에 무선충전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무선 배터리 공유 기능까지 갖추고 있다.
여기까지 갤럭시 폴드 디자인과 사양 디스플레이, 배터리에 대해 조금 자세히 알아보았는데 사실 평범한 일반인에게는 딱히 어울리지 않은 폰인 것 같다. 그럼에도 폰 자체는 멋지고 누구나 가지고 싶다. 다만 가격이 너무 비싸서 구매를 못 할뿐...